스위치 vs 허브
허브 - 1계층 장치
- 반이중모드로 작동
연결된 호스트가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지만, 동시에는 할 수 없다. 한번에 하나의 장치만 데이터 전송 가능 - CSMA/CD
충돌을 감지하고 복구하는데 사용됨 - 충돌 도메인 공유
스위치 - 2계층 장치
- 반이중, 이중 모드 가능 (실제로는 항상 이중모드로 작동)
이중 모드 시, 연결된 호스트는 수신 및 전송 와이어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수신과 발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 모든 호스트는 자신만의 전용 충돌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
충돌 발생x - MAC 주소를 알고 있다
프레임이 수신될 때마다 2계층 이더넷 헤더의 출발지 MAC주소를 확인하고, MAC 주소에 연결할 수 있는 포트를 매핑하는 MAC 주소 표에 MAC 주소를 추가한다
스위치 운용
host1이 목적지 MAC주소 2.2.2로 프레임 전송
-> 스위치는 1.1.1이 포트1과 연결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MAC Address table에 기록함
2.2.2는 MAC 주소 테이블에 없으므로, 유니캐스트 주소. 수신한 포트 제외 나머지 포트에 전송
-> 3.3.3 은 자신의 프레임이 아님을 확인하고 버린다 & 2번 포트 2.2.2 MAC Address table에 기록
라우터
OSI 3계층에서 작동한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라우팅한다.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이더넷, 시리얼, ISDN, ADSL 등)
기본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은 지원하지 않는다.
3계층 스위치
3계층을 인식 가능한 고급 스위치를 사용한다면,
서로 다른 IP 서브넷 사이의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이전에는 가격이 비쌌지만, 현재는 가격이 많이 내려가서
로컬 영역 연결에서 서로 다른 서브넷 사이의 트래픽을 라우팅할 경우 3계층 스위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외부 광역망 연결에 이더넷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경우 트래픽 전송에 기존의 일반 라우터를 사용해야 한다.